'하버드상위1퍼센트의비밀'에 해당되는 글 1건

"인간은 모두 자유의지를 가지고 있다"라는 명제를 깨부수는 책이다. 손가락을 구부리는 간단한 행위조차 내가 결정을 내리기도 전에 뇌가 먼저 명령을 내린다고 주장하며, 환경적 신호에 반응하는 뇌의 속도가 인간의 의지보다 빠르기 때문에 인간이 하는 모든 행동에서의 자유의지를 부정한다.

 

'하버드 상위 1퍼센트의 비밀'의 저자는 자유의지를 부정하는 대신 환경의 중요성을 역설하며, 시작 단계에서부터 모든 부정적인 환경을 차단하는 것이 성과창출에 가장 효율적이라고 한다. 그리고 모든 환경적 신호는 받아들이는 대상이 환경적 신호와 본인을 얼마나 동일시하느냐에 따라 효과가 다르다고 한다. 예를 들어 교사가 학생들에게 "너희들은 외계인이다"라고 환경적 신호를 주입할 경우 학생들은 본인과 외계인이 무관하다고 여겨 아무런 반응이 없는 반면, 중위권 학생들을 특정해 "너희들은 사고력이 매우 떨어진다"라고 환경적 신호를 주입하면 중위권 학생들의 성적이 실제로 성적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동일하게 뛰어난 수학 실력을 가진 여학생들을 A,B그룹으로 나누어 남학생들보다 여학생들의 수학 실력이 떨어진다고 신호를 준 A그룹과 그렇지 않은 B그룹의 성적을 평가했을 때, A그룹의 성적이 떨어졌으며, 남학생들의 경우에도 아시아인에 비해 백인의 수학능력이 떨어진다고 신호를 줬을 경우, 단순히 '너희와 같은 인종이 못했다'라는 신호 때문에 백인의 성적이 떨어졌다. (실제로 뛰어난 업적을 남긴 수학자는 대부분이 백인임에도 불구하고 실험에서 이 신호는 주지 않았다.) 

 

이는 제임스 클리어의 '아주 작은 습관의 힘'의 나오는 정체성 이론과도 일맥 상통해 보인다. 정체성 이론이란 습관 형성 시 단순히 행동이나 결과를 목표하는 것보다는 궁극적인 정체성을 목표로 하는 것이 습관 형성에 도움이 된다는 이론이다. 예를 들어 단순히 '다이어트를 하겠다' or '1개월 내로 3kg을 빼겠다'라는 목표 대신, 건강하고 에너지가 넘치는 사람을 목표로 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이 습관 형성에 훨씬 더 효과적이다.

 

 

학습에 있어 반복은 절대적으로 중요하지만, 분야를 막론하고 필연적으로 지루하다. 반복의 지루함을 떨쳐내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학습에 대한 가치관 정립과 의미 부여이다. 학습에 앞서 자신만의 가치관을 정립하고 위대한 의미를 부여하자, 더 많은 학업적 자기 조절 능력이 생겼고 투지가 불타올랐다. 하버드생이든 슬럼가의 학생들이든 관계없이 한 분야에 대한 깊은 이해를 만들고 학문을 향해 자기 가치관을 찾는 행위에는 특별한 힘이 있다. '하버드 상위 1퍼센트의 비밀'에서 월튼은 자기중심적 동기로만 이루어진 학생들을 세분류로 분류하였다.

 

1. 학습에 별다른 의미부여를 못한 학생군

2. 학습의 목적이 자기중심적인 학생군 ex) 타인의 인정, 좋은 직장에 취직, 우월감을 느끼기 위해 등

3. 배움에 목적을 두고 자신의 분야에 진실된 이해를 가진 학생군

 

월튼의 실험에서 자기중심적 목적을 가진 2번 학생들은 초반에는 자신을 밀어붙이는 효과를 발휘해 성과로 연결되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효과가 줄어들었다. 2번 학생군은 1번 학생들보다는 성과가 좋았으나, 공부가 지루해질 때 자기중심적 동기는 유의미한 효과를 만들지 못했다. 마치 마라톤에서 초반 스퍼트를 하고 에너지를 소진한 마라토너 같았다. 그러나, 3번 학생들은 지루한 학습의 과정을 끝까지 견뎌냈고, 학업성취도가 끝까지 일관되게 유지되었다.

 

경찰을 목표로 하는 학생이, 시민들의 치안과 안전을 지키는 것으로 가치관을 정립하고 의미를 부여해 정체성을 갖는다면 단순히 직업의 안전성이나 보수를 목표로 하는 학생들보다 극한의 훈련을 잘 견디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즉, "인간은 개인적인 학습에서 자기초월적인 WHY를 가질 때, 지루하고 불편한 문제를 푸는 HOW를 견뎌냈다"  

 

 

'하버드 상위 1퍼센트의 비밀'을 요약하면,

 

1. 부정적인 신호를 차단

2. 1가지에 몰입할 수 있는 환경

3. 자기초월적인 동기

 

3가지를 활용한다면,

누구든지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뛰어난 성과를 창출할 수 있다.

 

목표 설정 → 지루한 학습 과정을 인내 성과 창출 

블로그 이미지

always-growth

레버리지를 통해 희망을 드는 이야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