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정 값


삼성에스디에스 월봉 파라볼릭 152,700원이 저항. 여기 돌파후 지지시, 지지선으로 변경됨.

14.5만~16.7만까지 매물대가 없음

주봉 120 저항선 137,715

삼성에스디에스는 15만원을 뚫어야 정배열로 전환 가능하다.

'투자 > Trad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장분위기, 수급과 주도주/섹터 확인  (0) 2021.11.18
종목 분석 프로세스  (0) 2020.05.01
블로그 이미지

always-growth

레버리지를 통해 희망을 드는 이야기

,

개별종목 수급체크 : 투자자별 매매동향-종목별투자자(0796)

 

 

 

 

실시간 매매시 창구수급체크 : 거래원입체분석(0128)

 

 

 

 

당일주도주 찾기 : 거래대금상위(0186)

 

 

 

 

최근 주도주와 섹터 찾기 : 신고가/신저가(0161)

 

 

 

 

당일 주도주와 섹터 찾기 : 업종시세-업종별구성종목(0218)

 

 

 

 

당일 시장분위기 : 시장종합(0200)

 

 

 

 

당일 10%이상 종목 찾기 : 상한가/하한가 실시간 포착(0147)

 

 

'투자 > Trad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봉 매물대 수 10, MA 120선  (0) 2023.10.27
종목 분석 프로세스  (0) 2020.05.01
블로그 이미지

always-growth

레버리지를 통해 희망을 드는 이야기

,
투자는 곱셈이다. 단 한번이라도 0이 포함된다면 모든게 끝이다.

분류 

 

- 상장한지 몇년째 되는 종목인지 확인한다.

 

- 대형주(1~100위), 중형주(101~300위), 소형주(나머지) 중 어디에 속하는지 확인한다.

 

 

매매 절대 원칙 

 

안망할 회사싸게 매수한다.

 

안망할 회사의 기준은 무엇인가?

 

상장 폐지 check list

스크리닝 기준

 

- 3년 연속 적자인 기업은 거른다.

 

- 감자가 2회 이상인 기업은 거른다.

 

- 주가가 바닥일때 대규모 거래량이 터진 종목은 거른다.

 

 

손익계산서

 

매출, 영업이익 증가를 확인하고 만일 적자라면 턴어라운드 가능성을 확인한다.

 

턴어라운드 가능성이 보여도 3년 연속 적자 기업은 매매를 지양하고,

 

4년연속 적자 기업은 무조건 거른다.

 

재무제표

 

유보율 300% 이상인 종목을 매매한다.

 

시가총액대비 부채가 2배 미만인 종목을 매매한다.

 

대표이사의 지분을 확인한 뒤, 최근 대주주지분 변동을 날짜별로 체크한다.

 

차트

 

단기 투자의 경우

 

-구간나누기 후 거래량이 터진 기준봉을 찾는다.

 

-거래량이 터진 기준봉이 의미 있는 자리인지 지지여부를 확인한다. 

 

-기준봉의 시가 중심값 종가를 바탕으로 매매한다.

 

중장기 투자의 경우

 

- 가격 조정, 기간 조정(횡보), 이격조율을 확인한다.

 

- 중장기이평선 돌파 여부를 확인한다.

 

 

마인드

 

- 주식 매매시 그 누구도 믿지 않는다. 믿을곳은 오직 나 자신 뿐이다.

 

- 철저한 계획을 바탕으로 시나리오를 작성하고 분할 매수한다.

 

- 절대로 남의 수익률과 비교하지 않는다. 어제의 나보다 발전했으면 그것으로 만족한다.

 

- 매수할 때와 보유할 때 모두 인내심을 가진다.

 

- 욕심과 공포감은 자연스러운 감정이므로 애써 부정하기 보다는 감정을 인정하고 반대로 행동한다.

 

비중관리

 

- 전체 자금에서 한 종목당 20% 비율 이상을 투입하지 않는다.

 

- 현금 비중은 최소 10% 최대 20%를 유지한다.

'투자 > Trad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봉 매물대 수 10, MA 120선  (0) 2023.10.27
시장분위기, 수급과 주도주/섹터 확인  (0) 2021.11.18
블로그 이미지

always-growth

레버리지를 통해 희망을 드는 이야기

,

 

 

외국인 투자자 입장에서 환율은 이머징 투자의 가장 중요한 지표이며, 절대적인 기준입니다. 따라서 우리도 이머징 투자 시 다음과 같은 두 가지의 질문을 던져야 합니다.

 

1. 더 이상 해당 신흥국(한국) 환율의 오름세 예측되지 않는가?

2. 달러가 약세로 갈것인가?

 

 환율이 안정되고 달러의 약세가 확인되면 신흥국 투자에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신흥국은 주식과 채권, 통화가치가 같이 올라가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신흥국 투자의 적기는 통화가치가 떨어지다가 달러에 비해 다시 강세로 전환하는 시점입니다. 다시 말해, 원달러 환율이 오르다가 떨어지는 시점입니다.

 

 

 이머징 마켓이라고 불리는 신흥국에 대한 분류 기준은 매우 다양하겠지만, 투자에 있어서 참고할만한 기준은 MSCI emerging markets index입니다.

출처 : https://www.msci.com/market-classification

 

 

 MSCI 신흥국 지수에는 총 26개의 신흥국이 포함되어 있으며, 26개의 국가에 상장되어있는 모든 주식의 시가 총액이 나타납니다. 나라별 비율에 따라서 추종하는 자금의 규모가 달라지기 때문에 MSCI EM 지수에서 한국의 비율이 줄어들게 되면, 국내 증시에서 외국인 자금의 이탈이 나타나게 됩니다.

 

 

MSCI Emerging Markets 나라별 비중

 

 

 신흥국의 경우 통화가치가 떨어진 국가에서 통화가치가 오를 국가로 돈이 이동합니다. 브라질 주식이 30% 올랐더라도 헤알화 가치가 -50% 하락하게 되면 최종 수익률은 -20%인 것과 같은 맥락입니다.

 

 그리고 신흥국은 다른 나라간 수출에 유리하게 하기 위해 자국의 통화가치를 절하시키려는 유인이 존재합니다. 중국이 위안화 가치를 절하시켜 수출경쟁력을 높이는 행위와 이를 제지하기 위해 미국이 환율조작국에 중국을 포함시키려는 행위도 같은 맥락입니다.

 

가격변수의 변화는 어떤 형태로든 부의 이전을 유발합니다.

 

예를 들어,물가가 오르면 금융자산을 가진 사람에서 실물자산을 가진 사람에게로 부가 이전됩니다. 인플레이션이 클수록 화폐가치는 절하되고 자산가치는 절상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부의 이전은 인플레이션과 환율 모두에게 발생합니다. 그러므로 신흥국에서는 소비자가 소비를 해서 경제가 성장하기보다는 수출기업에 대한 수출의존도가 높기때문에(수출위주로 성장하기 때문에) 경제가 나쁘지 않더라도 환율을 올릴만한 요인을 가지고 있습니다.

 

정리하면, 신흥국은 의도적으로 통화가치를 약세로 만들 유인이 존재합니다.

 

 

선진국이 자국 통화가치를 약세로 만들 경우 (ex. 미국 달러 절하), 달러 약세로 수입물가가 상승하고 수출에 있어 가격경쟁력이 생깁니다. 즉, 미국 소비자의 부가 자국의 수출 기업으로 이전되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따라서 달러가 약세여도 주가는 오릅니다.

 

 

결론

 

 신흥국에 대한 투자를 고려한다면 가장 중요한 것은 환율입니다.  투자자의 입장에서 신흥국의 주가지수나 금리보다 환율이 절대적으로 우선시 되어야 합니다. 이는 국내시장 투자에도 해당하는 이야기입니다.

 

 


 

 

블로그 이미지

always-growth

레버리지를 통해 희망을 드는 이야기

,

유가 하락  디플레 기대심리   소비의 이연 (물건 가격이 내려가기 때문에 소비를 미룸) 기업 마진 하락

기업투자 감소 고용감소 →소득감소 소비 감소 수요 감소 가격 하락→디플레 기대심리 

(Cycle 반복)

 

따라서 디플레이션 = 소비의 이연 

 

유가 하락의 영향

 

1. 디플레 기대심리를 자극

 

수요 Side가 공급 Side에 비해 약하면 금리인하를 통해 수요 부양이 가능 (이자비용이 낮아지기 때문)

 

But, 원유시장에서 수요는 그대로인데 공급이 급격히 늘면서 디플레이션이 오면(공급 Side의 문제가 발생하면)

 

금리인하로 해결이 되지 않음.

 

2. 회사채 관련

 

셰일 오일 기업의 회사채가 하이일드 채권에 많이 포함

 

하이일드 기업들은 재무상태가 그닥 안 좋기 때문에 자금조달이 중요한데 자금조달이 어려워짐

 

하이일드 채권시장 투자자의 입장에서 에너지 섹터 기업이 아닌, 다른 섹터의 기업에서도 투자심리 악화

 

※fallen angel = AAA~CCC 채권 등급이 나뉘는데, BBB까지가 투자등급 채권 (BB부터는 투기등급 채권)

BBB에 해당하는 회사채가 신용등급이 강등됐을 경우, 투자에서 투기등급 채권으로 강등

(기존 BB보다 Fallen angel이 더 매력적)

 

투기등급 채권은 연기금들의 투자가 불가능.

junk bond가 아닌 BBB가 junk bond로 내려왔을 경우 상대적으로 우량해 매력적으로 보여(추락천사)

진짜 junk bond에 대한 투자 심리 악화.

회사채 시장 혼란 가중.

 

양적완화

질적완화

Yield Cap 정리

 

중앙은행의 능력은 이론적으로는 무한대

 

1. 전통적(traditional) 통화정책 : 금리인하

금리인하는 포괄적으로 시장에 영향을 줌. ex) AAPL, OXY 모두에게 균등하게 돈을 풀어줌.

 

2. 비전통적 통화정책 : 양적완화, 질적완화

중앙은행은 화폐 발행 시 담보(안전자산)를 바탕으로만 가능. ex)초단기 국채 담보로 달러 발행

 

정상적 Yield curve = 3개월물 < 6개월 <12개월 <2년 <5년 <10년 <30년물

 

중앙은행이 단기금리를 낮추면 장기금리가 같이 낮아져야 하는데 신용경색(시중에 돈이 안돌음=돈값이 비쌈=금리상승)이와서 장기금리가 안 낮아짐.

단기금리를 계속 낮춰도 장기금리가 안 낮아짐.

단기금리가 0% 대 진입해도 장기금리가 안낮아짐.

중앙은행은 이제 1년 3년 10년 순서로 연준이 매입. 장기 국채를 계속 사면 채권금리 떨어짐 = 양적완화

 

양적완화 =장기국채 매입으로 장기국채금리를 낮추는 것.

장기국채 마저 제로금리로 진입하면?(국채는 Credit risk 無)

회사채가 망할 것 같으면, 장기국채 매입을 해도 회사채로 수요가 이전되지 않음.

금리인하, 양적완화로도 시장이 안정되지 않음. = 한계효용 체감의 법칙 때문

디플레나 위기 심리가 고조될 시, 시장의 기대를 뛰어넘는 정책이 필요. =질적완화의 등장

 

 

질적완화 = 중앙은행이 회사채 직접 매입 (Credit risk 有)

질적완화는 의회의 승인이 필요.

 

 

질적완화도 안 통할 경우 Yield cap 활용

Yield cap : 장기국채금리를 고정시킴

 

중앙은행이 목표 금리 도달까지 장기국채 무한 매입 ex) 10년물 1%로 고정될 때까지 연준이 무한 매입

장기국채금리를 못 오르게 고정시키면 재정정책을 쓸 수 있는 여력이 늘어 재정정책과 통화정책의 공조가 가능.

 

Why?

 

국채 발행 증가 국채 공급 증가 국채 가격 하락 국채금리 상승

국채금리 상승  국채 무한 매입  Yield cap 수준으로 국채금리 하락

 

국채금리가 Yield cap 보다 오를 때마다 중앙은행이 국채 무한 매입으로 국채금리 떨어뜨림

저금리로 막대한 재정정책 가능

 

업로드 시간기준 Treasury Yield

'투자 > Inves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달러환율 | 신흥국 투자의 마일스톤  (0) 2020.04.26
블로그 이미지

always-growth

레버리지를 통해 희망을 드는 이야기

,